국민의힘 대변인 공식 논평 및 보도자료입니다.
오늘(31일) 한국감정원 발표에 따르면 8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값 주간 상승률이 0.45%를 기록했다고 한다. 한국감정원이 시세를 집계한 이래 역대 최고 상승폭이다.
손대는 것마다 마이너스를 만드는 문재인 정부가 집값 하나만은 최고수준으로 올리고 있다.
민주당 소속의 박원순 서울시장이 섣부른 개발정책을 발표했다가 보류하더니, 정부는 부부 합산 연소득 7천만 원이 넘는 가구에 대해서는 전세보증 상품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겠다고 했다가 하루 만에 번복했다. 무능력한 탁상행정의 전형이다.
어제(30일)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는 3주택자·초고가주택에 대한 보유세 강화 등 더 강력한 부동산 수요억제 정책이 논의됐다.
지난 27일에도 서울 4개구를 투기지역, 경기도 2개시를 투기과열지역으로 추가 지정해 부동산 수요를 억제하는 8.27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최근 서울과 수도권 일부지역의 부동산이 급등세를 보이고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지만 정부는 실효성 없는 부동산 대책만 남발하고 있다.
오죽하면 여당 의원이 기자에게 “정말 이렇게 될 줄 몰랐다. 그냥 집을 사라. 몇 천만 원 떨어질 때 기다리다 아예 ‘루저’가 될 수 있다.”고 까지 했겠는가?
부동산시장도 수요 공급이 근본이 되어야 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부동산정책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지난 노무현 정부의 경험을 통해 우리는 잘 알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6%이고, 수도권은 98.2%, 서울은 96.3%에 불과하다.
반면 2010년 일본통계 연감, 미국 2010 Statistical Abstract 등에 따르면 일본의 주택보급률은 115.2%('08년), 미국은 111.4%('08년), 영국은 106.1%('07년)로 우리보다 높다.
선진국들은 시장 상황에 즉흥적으로 일일이 대응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장기적·안정적으로 주택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정부는 자기 집 한 채를 장만하고 싶은 국민의 소망을 헤아려야 한다. 효과도 없는 잦은 수요억제, 규제 일변도의 부동산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
양질의 주택 공급을 늘리고 수요공급 전체 조화를 고려한 근본적인 부동산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시중의 유동 자금이 기업투자로 갈 수 있는 방안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2018. 8. 31.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 윤 영 석